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82)
탐구 지점 4 - 절리와 풍화 탐구학습 주제 : 절리와 풍화 적용 대상 중․고등학생용 소요시간 20분 준비물 확대경, 카메라, 탐구학습지, 지질도, 해머(지질용 망치) (A) (B) (C) 1. 팔각정에서 등산로를 따라 가다 하느재 쉼터 바로 못 미친 부분에 드러난 암석 (A)를 볼 수 있습니다. 이 노두(암석)는 갈라진 암석의 틈이 발달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지질구조를 무엇이라고 할까요? 2. 이러한 지질 구조가 생긴 이유는 무엇일까요? 3. 암석 (A) 옆에 있는 암석 (B)의 동그라미 부분을 자세히 보면 (C)와 같이 움푹 패인 곳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구멍이 생긴 까닭은 무엇일까요? 절리(Joint)와 타포니 절리(Joint): 온도가 낮은 지각의 얕은 곳이나 지표에 노출된 곳의 암반이 힘(stress)을 받으..
탐구 지점 3- 규장암 암맥 탐구학습 주제 : 규장암 암맥 적용 대상 중, 고등학생용 소요시간 10분 준비물 확대경, 카메라, 탐구학습지, 지질도, 해머(지질용 망치) (A) (B) 1. 팔각정에서 등산로를 따라가다 보면 G-5지점의 오른쪽(동쪽)으로 암석 (B)를 볼 수 있다. 붉은 색을 띠지 않는 부분의 암석면을 찾아 색과 알갱이의 크기를 관찰해봅시다. 암석의 색 구성 광물 알갱이의 크기 2. 암석 표면에만 붉은 색을 띠는 부분이 있는데, 이것은 왜 생긴 것일까요? 3. 이 암석과 탐구지점1의 팔각정 근처 어떤 암석과 관련이 있을까요? 그 이유를 말해봅시다. 관입과 관입암 이미 생성되어 있는 암석 속으로 새로운 액체 또는 반 액체 상태의 마그마가 뚫고 들어와 자리 잡으면 이를 관입이라 하며, 한 암석이 다른 암석을 뚫고 들어간(..
탐구 지점 2- 암석의 관찰 (중등용) 탐구학습 주제 : 암석의 관찰 적용 대상 중·고등학생용 소요시간 30분 준비물 확대경, 카메라, 탐구학습지, 지질도, 해머(지질용 망치) (A) (B) (C) (D) 1. 팔각정에서 등산로를 따라 올라가다 보면 등산로 오른쪽으로 암석(A)와 암석 (B)를 관찰할 수 있다. 이 암석을 관찰하고 해당되는 내용에 동그라미를 쳐 봅시다. A B 암석의 색깔 밝다, 어둡다 밝다, 어둡다 알갱이 크기 -모든 알갱이의 크기가 동일하다. -반정(알갱이)과 석기(바탕)가 따로 구분이 된다. -모든 알갱이의 크기가 동일하다. -반정(알갱이)과 석기(바탕)가 따로 구분이 된다. 2. 위와 같은 특징을 바탕으로 보았을 때 이 암석의 이름은 무엇일까요? 3. 암석 (A, B)와 (C, D)의 색이 다르게 나타나는 까닭은 무엇일..
탐구지점 1 - 암석의 관찰 (초등) 탐구학습 주제 : 암석의 관찰 적용 대상 초등학생용 소요시간 30분 준비물 확대경, 줄자, 카메라, 탐구학습지, 해머(지질용 망치) (A) (B) (C) 1. 팔각정(A)을 받치고 있는 암석(B)을 잘 살펴보고 해당되는 내용에 동그라미를 그리세요. 암석의 색깔 밝다, 어둡다 알갱이 크기 하나씩 구분이 된다, 너무 작아 알갱이가 구분되지 않는다. 구성 광물 흰색, 초록색, 빨강색, 갈색, 검은색, 무색투명한 것 줄무늬 있다, 없다 2. 위와 같은 특징을 바탕으로 보았을 때 이 암석의 이름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3. 암석 (C)를 잘 살펴보고 해당되는 내용에 동그라미를 그리세요. 암석의 색깔 밝다, 어둡다 알갱이 크기 하나씩 구분이 된다, 너무 작아 알갱이가 구분되지 않는다. 구성 광물 흰색, 초록색, ..
탐구지점 1 - 암맥과 암석의 절리 탐구학습 주제 : 암맥과 암석의 절리 적용 대상 중·고등학생용 소요시간 20분 준비물 확대경, 줄자, 카메라, 탐구학습지, 지질도, 해머(지질용 망치) (A) (B) (C) 1. 산의 능선을 따라 폭이 6-8m에 이르는 암석이 두드러져 나타나게 된 까닭은 무엇일까요? 2. 붉은 색을 띠지 않는 부분의 암석면을 찾아 색과 알갱이의 크기를 관찰해봅시다. 색 알갱이 크기 3. 이곳 암석들은 표면에만 붉은 색을 띠는 부분이 있는데, 이것은 왜 생긴 것일까요? 4. 이 노두(암석)는 갈라진 암석의 틈이 발달되어 있다. 이러한 지질구조를 무엇이라고 할까요? 5. 이러한 지질 구조가 생긴 이유는 무엇일까요? 응회암을 관입한 규장암 계양산은 전체적으로 용결 응회암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산의 동쪽 사면의 등산로를 따라 ..
계양산의 지질학적 특징 1. 계양산의 지질학적 특징에 대해 알아봅시다. 태평양 연안의 화산대에 있는 일본은 지금도 화산활동과 지진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지금으로부터 약 1억∼5000만 년 전인 중생대 백악기에서 신생대 3기에는 화산과 지진 활동이 활발했습니다. 이때 우리나라의 땅속에는 마그마가 많았고 화산의 대부분이 폭발형 화산이었으므로, 화산활동이 일어날 때마다 화산재가 화산 주변 여기저기에 많이 쌓여 응회암으로 남게 되었습니다. 이때의 화산활동은 경상남북도와 전라남도 등 현재의 한반도 남부 지방을 중심으로 일어났으며, 중부 지방의 경우에도 서해안이나 연천 지역에 중생대 때 화산이 분출하여 만들어진 응회암이 분포합니다. ✤ 한반도 남부 백악기∼제3기초 화산활동 및 화산암의 분포도 ✤ 1) ✤ 남한 경기..
탐구지점 4- 바윗돌 깨뜨려 돌덩이 (초등용) 탐구학습 주제 : 바윗돌 깨뜨려 돌덩이 (흙의 생성) 적용 대상 초등학생용 소요시간 20분 준비물 확대경, 카메라, 탐구학습지, 해머(지질용 망치) (A) (B) 1. 둥근 형태에 갈라진 틈이 있는 암석(A)를 관찰해 보고, 아래 내용 중 해당하는 곳에 동그라미를 그려봅시다. 암석의 색깔 밝다 어둡다 구성 광물 알갱이의 크기 맨눈으로 구별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이다. 맨눈으로 구별하기 어려울 정도로 작다. 2. 사진 (B)에서 암석 위에 모래가 뿌려져 있는 것처럼 보이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풍화와 관련하여 생각해 보고 그 이유를 써 봅시다. 바윗돌 깨뜨려 돌덩이~ 흙은 땅 위에서 살아가는 모든 생물의 터전. 흙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산을 오를 때면 큰 바위와 바위에서 떨어져 나간 돌 조각들을 쉽게 볼 수..
탐구지점 4- 화성암의 구상풍화와 절리 (중,고등학생용) 탐구학습 주제 : 화성암의 구상풍화와 절리 적용 대상 중․고등학생용 소요시간 20분 준비물 확대경, 카메라, 탐구학습지, 지질도, 해머(지질용 망치) (A) (B) 1. 둥근 형태에 갈라진 틈이 있는 암석(A)를 관찰해 봅시다. 암석의 색깔 구성 광물의 크기 암석의 겉보기 상태 (풍화정도) 2. 암석 (A)가 둥근 형태를 띠게 된 원인은 무엇일까요? 구상풍화란 무엇일까요? 구상풍화력(spheroidal weathered boulder) 암석이 형성되는 과정에 수축과 함께 장력이 작용하면서 암석 내의 갈라진 틈인 절리가 만들어집니다. 블록모양(육면체의 주사위 모양)으로 갈라진 화강암이 암석에 발달한 절리를 따라 풍화 작용을 받으면 세 개 혹은 두 개의 면이 인접하고 물리적으로 취약한 블록의 꼭지점과 모서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