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산/지질 (8) 썸네일형 리스트형 문학산 관찰지점1(중등용) 적용 대상 중, 고등학생용 소요시간 20분 준비물 확대경, 줄자, 카메라, 탐구학습지, 해머(지질용 망치) 문학산 지질 탐구지점5 탐구학습 주제 : 관입암과 절리 적용 대상 중, 고등학생용 소요시간 10분 준비물 확대경, 카메라, 탐구학습지, 지질도, 해머(지질용 망치) (A) (B) (C) 1. 문학산성 현황판(A)에서 동쪽(선학동 방향)으로 몇 걸음 걸어오면 노두 B를 볼 수 있습니다. 이 노두(암석)는 갈라진 암석의 틈이 발달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지질구조를 무엇이라고 합니까? 2. 이러한 지질 구조가 생긴 이유는 무엇일까요? 3. C에서 ㉠과 ㉡ 중에서 먼저 생성된 암석은 무엇일까요? 4. C의 ㉡과 같은 구조를 무엇이라고 할까요? 관입, 절리 한 암석이 다른 암석을 뚫고 들어간(관입한) 경우, 관입당한 암석이 먼저 생성된 것이다. 이를 ‘관입의 법칙’이라 합니다. 관입의 법칙 : 화성암이 어떤 암석에 관입했을 때, 관입당한.. 문학산 지질 탐구지점4 탐구학습 주제 : 포획암 적용 대상 중·고등학생용 소요시간 20분 준비물 확대경, 카메라, 탐구학습지, 지질도, 해머(지질용 망치) (A) (B) (C) 1. 문학산성 안내판 뒤로 보이는 노두를 자세히 관찰하고, 암석 을 구성하는 알갱이의 크기 차이에 따라 사진 B와 같이 경 계선을 손가락으로 따라 그려봅시다. 2. 암석 B를 가까이서 찍은 사진이 C입니다. ㉠과 ㉡의 암석을 관찰하고 그 특징을 비교해서 써봅시다. 구분 ㉠ ㉡ 암석의 색깔 알갱이 크기 줄무늬 유,무 3. 암석 ㉠은 암석 ㉡ 위로 분출한 것일까요? 아니면 암석 ㉠에 암석 ㉡이 포획된 것일까요? 그렇게 생각한 까닭은 무엇입니까? 포획암(捕獲巖, xenolith) 화성암이 어떤 암석에 관입했을 때, 관입당한 암층은 관입한 암석보다 먼저 생긴 .. 문학산 지질 탐구지점3 탐구학습 주제 : 심성암에서 나타나는 여러 특징 적용 대상 중, 고등학생용 소요시간 20분 준비물 확대경, 줄자, 카메라, 탐구학습지, 해머(지질용 망치) (A) (B) (C) (D) 1. 암석 A에서 ㉠과 ㉡ 중에서 먼저 생성된 것은 무엇일까요? 2. ㉡과 같은 구조를 무엇이라고 할까요? 3. 암석 B에서 ㉢과 ㉣ 중에서 먼저 생성된 것은 무엇일까요? 4. ㉢과 같은 구조를 무엇이라고 할까요? 5. C와 같이 칼로 자른 듯이 갈라져 있는 구조를 무엇이라고 할까요? 6. D와 같이 양파 껍질처럼 암석 표면이 벗겨지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할까요? 7. D 암석이 심성암임을 감안할 때, 이와 같은 현상이 일어난 이유를 생각해봅시다. 관입, 포획암, 절리, 박리 한 암석이 다른 암석을 뚫고 들어간(관입한) 경우.. 문학산 지질 탐구지점2 탐구학습 주제 : 암석의 풍화 적용 대상 중, 고등학생용 소요시간 20분 준비물 확대경, 줄자, 카메라, 탐구학습지, 해머(지질용 망치) (A) (B) (C) 문학산 지질 탐구지점 1 (중등용) 탐구학습 주제 : 암석의 종류와 특징 적용 대상 중, 고등학생용 소요시간 20분 준비물 확대경, 카메라, 탐구학습지, 해머(지질용 망치) (A) (B) (C) * 문학공원 입구로 들어가자마자 주변에 여러 종류의 정원석이 있습니다. 1. 암석 (A)의 특징과 이름을 써봅시다. 특징 이름 2. 암석 (B)를 자세히 살펴보면 대부분 검은색과 흰색의 줄무늬(1)가 발달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줄무늬의 생성 원리와 이 암석의 이름을 써봅시다. 줄무늬 생성원리 이름 3. 줄무늬 (1)과 (2)의 차이점은 써보고, 무엇이 먼저 생성되었는지 순서를 써봅시다. 4. 암석 (C)에서 관찰되는 광물을 써보고, 이 암석의 이름을 생각하여 써봅시다. 화성암 변성암 퇴적암 인천에서는 색깔이 밝은 암석, 줄무늬가 뚜렷한 암석, .. 탐구 지점1 -암석의 이름 (초등용) 탐구학습 주제 : 암석의 이름 적용 대상 초등학생용 소요시간 20분 준비물 확대경, 줄자, 카메라, 탐구학습지 (A) (B) (C) * 문학공원 입구로 들어가자마자 주변에 여러 종류의 정원석이 있습니다. 1. 암석 (A)는 곳곳에 자갈들이 많이 발견됩니다. 자갈, 모래, 진흙이 쌓여 만들어진 퇴적암의 한 종류인 이 암석의 이름은 무엇일까요? 다음 중 맞는 이름에 동그라미를 쳐 봅시다. 화강암, 역암, 편마암 2. 암석 (B)는 흰색의 줄무늬와 검은색의 줄무늬가 교대로 잘 발달되어 있습니다. 양쪽에서 누르는 힘을 받아 만들어진 변성암의 한 종류인 이 암석의 이름은 무엇일까요? 화강암, 역암, 편마암 3. 암석 (C)는 흰색 바탕에 검은색 알갱이가 많이 박혀있습니다. 땅 속 마그마가 굳어져 만들어진 화성암의.. 문학산의 지질학적 특징 1. 문학산의 지질학적 특징에 대해 알아봅시다. 지질시대 중 중생대 쥐라기인 2억∼1억 6000만 년 전에 우리나라의 땅속 약 7∼20km 아래에는 커다란 마그마가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 마그마는 지하에서 식어 화강암이 되었거나 지표 밖으로 나오면서 화산활동을 일으켰습니다. 이때 깊은 땅속에서 생성된 화강암은 지각 변동이나 그 위를 덮고 있던 암석들이 풍화·침식 작용을 받아 수백만∼수천만 년에 걸쳐서 땅 위로 서서히 올라와 지표에 노출되었습니다. 이 화강암을 ‘대보화강암’이라고 합니다. 서울을 비롯해서 수원, 의정부, 동두천, 포천, 춘천, 원주, 제천 등 많은 도시들이 대보화강암 위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 한반도 남부 백악기 ∼제3기초 화산활동 및 화산암의 분포도 ✤ 1) ① 쥐라기 중기(약 1억 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