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구학습 주제 : 암석의 관찰
적용 대상 |
중·고등학생용 |
소요시간 |
30분 |
준비물 |
확대경, 카메라, 탐구학습지, 지질도, 해머(지질용 망치) |
(A)
(B)
(C)
(D)
1. 팔각정에서 등산로를 따라 올라가다 보면 등산로 오른쪽으로 암석(A)와 암석 (B)를 관찰할 수 있다. 이 암석을 관찰하고 해당되는 내용에 동그라미를 쳐 봅시다.
|
A |
B |
암석의 색깔 |
밝다, 어둡다 |
밝다, 어둡다 |
알갱이 크기 |
-모든 알갱이의 크기가 동일하다. -반정(알갱이)과 석기(바탕)가 따로 구분이 된다. |
-모든 알갱이의 크기가 동일하다. -반정(알갱이)과 석기(바탕)가 따로 구분이 된다. |
2. 위와 같은 특징을 바탕으로 보았을 때 이 암석의 이름은 무엇일까요?
3. 암석 (A, B)와 (C, D)의 색이 다르게 나타나는 까닭은 무엇일까요?
|
|
응회암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 |
|
화산 폭발로 분출되는 고체 상태의 화산 물질을 화산 분출물 또는 화산 쇄설물이라고 부르며, 이들이 고결되거나 용결되어 만들어진 암석을 화산쇄설암 또는 응회암이라고 합니다. 화산 쇄설물은 크기에 의해 다음과 같이 분류합니다.
✤ 화산쇄설물과 화산쇄설암의 분류 ✤
지름 |
이름 |
암석 조직 이름 |
64mm 이상 |
화산탄, 화산암괴 |
화산각력암, 집괴암 |
2∼64 mm |
화산력 |
화산력 응회암 |
2mm 이하 |
화산재 |
응회암 |
웬트워스와 윌리엄스의 분류에서는 지름 4 mm 이하, 1960년 피셔의 분류에서는 지름 2 mm 이하의 화산방출물을 응회암으로 정의합니다.
응회암은 함유물의 암질에 따라 여러 가지 명칭이 있습니다. 암석 전체의 75% 이상이 유리파편으로 된 응회암을 유리질응회암이라 합니다. 응회암이 주로 마그마에 연유한 결정으로 되어 있는 것은 결정응회암, 기존암석의 파편이 주가 되어 있는 것은 석질응회암이라 합니다. 구성물질의 50∼75%가 유리이고 나머지가 결정이면 유리질결정응회암이라 합니다. 화산탄을 함유한 응회암은 응회집괴암, 부석이나 암재가 굳어서 된 암석은 각각 부석응회암, 암재응회암이라 합니다.
응회암의 일종인 용결응회암은 화산재, 부석, 암재가 고온인 채로 두껍게 퇴적하여, 하중으로 인해 암편이 압축되어 서로 용결하여 생긴 것이며, 용암으로 오인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 경기도 연천군 용결응회암 ✤
✤ 제주도 용머리 해안 응회암 ✤
1) 자료출처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05. 한반도의 화성암과 화성활동
'계양산 > 지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탐구 지점 4 - 절리와 풍화 (0) | 2013.01.23 |
---|---|
탐구 지점 3- 규장암 암맥 (0) | 2013.01.23 |
탐구지점 1 - 암석의 관찰 (초등) (0) | 2013.01.23 |
탐구지점 1 - 암맥과 암석의 절리 (0) | 2013.01.22 |
계양산의 지질학적 특징 (0) | 2013.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