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계양산/지질

탐구 지점 2- 암석의 관찰 (중등용)

 탐구학습 주제 : 암석의 관찰

적용 대상

중·고등학생용

소요시간

30분

준비물

확대경, 카메라, 탐구학습지, 지질도, 해머(지질용 망치)


(A)


(B) 


(C)


(D)

1. 팔각정에서 등산로를 따라 올라가다 보면 등산로 오른쪽으로 암석(A)와 암석 (B)를 관찰할 수 있다. 이 암석을 관찰하고 해당되는 내용에 동그라미를 쳐 봅시다.

 

A

B

암석의

색깔

밝다,  어둡다

밝다,  어둡다

알갱이

크기

-모든 알갱이의 크기가 동일하다.

-반정(알갱이)과 석기(바탕)가 따로 구분이 된다.

-모든 알갱이의 크기가 동일하다.

-반정(알갱이)과 석기(바탕)가 따로 구분이 된다.

2. 위와 같은 특징을 바탕으로 보았을 때 이 암석의 이름은 무엇일까요?


3. 암석 (A, B)와 (C, D)의 색이 다르게 나타나는 까닭은 무엇일까요?

 

응회암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화산 폭발로 분출되는 고체 상태의 화산 물질을 화산 분출물 또는 화산 쇄설물이라고 부르며, 이들이 고결되거나 용결되어 만들어진 암석을 화산쇄설암 또는 응회암이라고 합니다. 화산 쇄설물은 크기에 의해 다음과 같이 분류합니다.

화산쇄설물과 화산쇄설암의 분류

지름

이름

암석 조직 이름

64mm 이상

화산탄, 화산암괴

화산각력암, 집괴암

2∼64 mm

화산력

화산력 응회암

2mm 이하

화산재

응회암

웬트워스와 윌리엄스의 분류에서는 지름 4 mm 이하, 1960년 피셔의 분류에서는 지름 2 mm 이하의 화산방출물을 응회암으로 정의합니다.

응회암은 함유물의 암질에 따라 여러 가지 명칭이 있습니다. 암석 전체의 75% 이상이 유리파편으로 된 응회암을 유리질응회암이라 합니다. 응회암이 주로 마그마에 연유한 결정으로 되어 있는 것은 결정응회암, 기존암석의 파편이 주가 되어 있는 것은 석질응회암이라 합니다. 구성물질의 50∼75%가 유리이고 나머지가 결정이면 유리질결정응회암이라 합니다. 화산탄을 함유한 응회암은 응회집괴암, 부석이나 암재가 굳어서 된 암석은 각각 부석응회암, 암재응회암이라 합니다.

응회암의 일종인 용결응회암은 화산재, 부석, 암재가 고온인 채로 두껍게 퇴적하여, 하중으로 인해 암편이 압축되어 서로 용결하여 생긴 것이며, 용암으로 오인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경기도 연천군 용결응회암

1)

 

제주도 용머리 해안 응회암


1) 자료출처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05. 한반도의 화성암과 화성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