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구학습 주제 : 암석의 관찰
적용 대상 |
초등학생용 |
소요시간 |
30분 |
준비물 |
확대경, 줄자, 카메라, 탐구학습지, 해머(지질용 망치) |
(A) (B)
(C)
1. 팔각정(A)을 받치고 있는 암석(B)을 잘 살펴보고 해당되는 내용에 동그라미를 그리세요.
암석의 색깔 |
밝다, 어둡다 |
알갱이 크기 |
하나씩 구분이 된다, 너무 작아 알갱이가 구분되지 않는다. |
구성 광물 |
흰색, 초록색, 빨강색, 갈색, 검은색, 무색투명한 것 |
줄무늬 |
있다, 없다 |
2. 위와 같은 특징을 바탕으로 보았을 때 이 암석의 이름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3. 암석 (C)를 잘 살펴보고 해당되는 내용에 동그라미를 그리세요.
암석의 색깔 |
밝다, 어둡다 |
알갱이 크기 |
하나씩 구분이 된다, 너무 작아 알갱이가 구분되지 않는다. |
구성 광물 |
흰색, 초록색, 빨강색, 갈색, 검은색, 무색투명한 것 |
줄무늬 |
있다, 없다 |
|
|
화강암은 어떻게 생성되었을까? | |
|
마그마가 식어서 생성된 암석을 화성암이라고 합니다. 화성암은 마그마가 식는 속도에 따라 알갱이 크기가 달라지고, 마그마의 성분에 따라 암석의 색깔이 달라집니다.
마그마가 식는 속도가 다르면, 만들어지는 광물의 크기도 다릅니다. 마그마 안의 여러 원자들이 모여서 특정한 결정 구조를 이루고, 그 구조들이 아주 많이 모여야 광물이 되는데, 그러한 일이 일어나는 데에도 시간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마그마가 다 굳을 때까지 시간이 충분히 있으면, 즉 마그마가 아주 천천히 식으면 크게 자란 광물들로 이루어진 암석이 만들어지고, 마그마가 너무 빨리 식어 버리면 광물의 크기가 아주 작은 암석이 만들어집니다.
✤ 화산 활동으로 만들어지는 암석 ✤
심성암은 천천히 굳으면서 만들어진 암석이니, 암석을 이루는 광물의 알갱이가 큽니다. 화강암이 대표적인 심성암입니다. 화강암을 이루는 광물들은 모두 맨눈으로도 잘 보일 정도로 크게 자라 있습니다.
화산암은 빠르게 식으면서 만들어진 암석이기 때문에, 광물의 알갱이가 맨눈으로 보이지 않을 만큼 작습니다. 그리고 때로는 지표면으로 올라오면서 마그마 안에 있던 기체가 갑자기 빠져나가서 그 흔적이 구멍으로 남기도 합니다. 제주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현무암이 대표적인 화산암입니다. 또한 규소 원자 하나와 산소 원자 두 개가 결합한 이산화규소가 얼마나 많이 들어 있는가에 따라 마그마를 규장암질(산성) 마그마, 중성 마그마, 고철질(염기성) 마그마, 초고철질(초염기성) 마그마의 네 가지로 분류합니다.
화강암은 이 ‘규장암질’ 마그마에 속합니다. ‘규장암질’이라는 말은 규소 성분이 많아서 석영과 장석이 잘 만들어질 수 있다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규장암질 마그마 안에는 금속 원소들이 조금밖에 들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색이 짙은 광물들은 별로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그래서 화강암은 색이 밝습니다. 화강암을 이루는 광물로는 석영, 장석, 흑운모 등이 있습니다.
✤ 화강암 ✤
✤ 현무암 ✤
|
|
화강암과 현무암을 비교해보자 | |
|
화강암의 특징을 이야기할 때는 보통 현무암과 비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두 암석 모두 마그마가 굳어져 만들어진 화성암(火成巖)이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암석의 색깔, 암석 표면의 특징, 구성 광물의 크기와 종류 등 특징적인 면은 매우 다릅니다. 아래 사과에 적힌 암석의 특징을 읽고 해당하는 암석 바구니에 넣어봅시다.
1) 자료 출처 : 정지숙 외. 2008. 초등과학 개념사전.
'계양산 > 지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탐구 지점 4 - 절리와 풍화 (0) | 2013.01.23 |
---|---|
탐구 지점 3- 규장암 암맥 (0) | 2013.01.23 |
탐구 지점 2- 암석의 관찰 (중등용) (0) | 2013.01.23 |
탐구지점 1 - 암맥과 암석의 절리 (0) | 2013.01.22 |
계양산의 지질학적 특징 (0) | 2013.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