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량산/지질

탐구지점 4- 화성암의 구상풍화와 절리 (중,고등학생용)

 탐구학습 주제 : 성암의 상풍화와

적용 대상

중․고등학생용

소요시간

20분

준비물

확대경, 카메라, 탐구학습지, 지질도, 해머(지질용 망치)


(A)


(B)

1. 둥근 형태에 갈라진 틈이 있는 암석(A)를 관찰해 봅시다.

암석의 색깔

 

구성 광물의 크기

 

암석의 겉보기 상태
(풍화정도)

 



2. 암석 (A)가 둥근 형태를 띠게 된 원인은 무엇일까요?


 

구상풍화란 무엇일까요?

 

상풍화력(spheroidal weathered boulder)

암석이 형성되는 과정에 수축과 함께 장력이 작용하면서 암석 내의 갈라진 틈인 절리가 만들어집니다. 블록모양(육면체의 주사위 모양)으로 갈라진 화강암이 암석에 발달한 절리를 따라 풍화 작용을 받으면 세 개 혹은 두 개의 면이 인접하고 물리적으로 취약한 블록의 꼭지점과 모서리 부분에 풍화가 집중되고, 이로 인해 가운데는 둥근 암석만 남고 주변은 풍화 물질로 둘러싸이게 됩니다. 경우에 따라 주변의 풍화 물질이 씻겨 둥근 모양의 바위가 빠져나오기도 하는데 이것을 구상풍화력(spheroidal weathered boulder)이라 합니다. 구상풍화력의 대표적인 예로 설악산의 ‘흔들바위’가 있습니다.

 

구상풍화력(설악산 흔들바위)

 

화강암의 풍화특성은
무엇일까요?

 

강암이 분포하는 지역은 금강산, 설악산, 북한산과 같이 높은 지형을 이루거나 아니면 춘천시와 같이 주위 모암보다 풍화작용을 빨리 받아 낮은 지형을 형성합니다. 화강암은 다른 암석에 비해 등방성을 가져 풍화 시 지표면과 거의 평행한 박리형태를 가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