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산 지질 탐구지점 1 (중등용)
탐구학습 주제 : 암석의 종류와 특징
적용 대상 |
중, 고등학생용 |
소요시간 |
20분 |
준비물 |
확대경, 카메라, 탐구학습지, 해머(지질용 망치) |
(A)
(B)
(C)
* 문학공원 입구로 들어가자마자 주변에 여러 종류의 정원석이 있습니다.
1. 암석 (A)의 특징과 이름을 써봅시다.
특징 |
|
이름 |
|
2. 암석 (B)를 자세히 살펴보면 대부분 검은색과 흰색의 줄무늬(1)가 발달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줄무늬의 생성 원리와 이 암석의 이름을 써봅시다.
줄무늬 생성원리 |
|
이름 |
|
3. 줄무늬 (1)과 (2)의 차이점은 써보고, 무엇이 먼저 생성되었는지 순서를 써봅시다.
4. 암석 (C)에서 관찰되는 광물을 써보고, 이 암석의 이름을 생각하여 써봅시다.
|
|
화성암 변성암 퇴적암 | |
|
인천에서는 색깔이 밝은 암석, 줄무늬가 뚜렷한 암석, 흰 색을 띠는 암석 등 다양한 암석을 볼 수 있습니다. 인천의 산으로 출발하기 전에 대표적인 암석의 종류와 암석이 만들어진 과정과 원인을 알아봅시다.
화성암
화성암은 마그마가 식으면서 굳어져 생긴 암석입니다. 마그마가 땅속 깊은 곳에서 천천히 굳어 생긴 암석을 심성암, 화산에서 분출한 용암이 지표면에서 재빨리 굳어 생긴 암석을 화산암이라고 합니다. 심성암과 화산암을 구별하는 특징은 암석을 이루는 광물의 크기 차이입니다. 심성암은 지하 깊은 곳에서 천천히 굳어서 광물의 크기가 비교적 크고, 화산암은 지표면에서 빨리 굳어서 광물의 크기가 작습니다. 또한 화성암은 크게 어두운 색과 밝은 색, 그 중간색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렇게 암석의 색이 다른 이유는 암석을 구성하는 광물의 종류와 구성하는 화학 성분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화성암의 종류
1. 화산암
✤ 현무암(어두운 색) ✤
✤ 안산암(중간 색) ✤
✤ 유문암(밝은 색) ✤
2.심성암
✤ 반려암(어두운 색) ✤
✤ 섬록암(중간 색) ✤
✤ 화강암(밝은 색)✤
퇴적암
암석이 풍화나 침식을 받아 부서져서 만들어진 자갈이나 모래, 진흙, 화산재, 물에 녹아 있던 물질 등이 쌓인 것을 퇴적물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퇴적물이 쌓인 후 굳어져 생긴 암석을 퇴적암이라고 합니다. 퇴적암은 암석을 이루는 퇴적물의 종류에 따라 나누며, 역암, 사암, 셰일, 석회암, 응회암 등이 있습니다.
퇴적암의 종류
✤ 이암 ✤
✤ 적색 셰일 ✤
✤ 응회암 ✤
✤ 흑색사암 ✤
✤ 석회암 ✤
✤ 역암 ✤
변성암
지표면 또는 지각 내에 있던 암석이 지각변동으로 온도와 압력이 더 높은 지각 내부로 들어가거나, 뜨거운 마그마 옆에 있게 되면 그 광물의 크기 등이 바뀝니다. 이렇게 암석이 높은 열과 압력에 의해 성질이 변해서 생긴 암석을 변성암이라고 합니다.
변성암의 종류
✤ 규암 ✤
✤ 혼펠스 ✤
✤ 점판암 ✤
✤ 편마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