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구 지점 3- 규장암 암맥
탐구학습 주제 : 규장암 암맥
적용 대상 |
중, 고등학생용 |
소요시간 |
10분 |
준비물 |
확대경, 카메라, 탐구학습지, 지질도, 해머(지질용 망치) |
(A)
(B)
1. 팔각정에서 등산로를 따라가다 보면 G-5지점의 오른쪽(동쪽)으로 암석 (B)를 볼 수 있다. 붉은 색을 띠지 않는 부분의 암석면을 찾아 색과 알갱이의 크기를 관찰해봅시다.
암석의 색 |
|
구성 광물 알갱이의 크기 |
|
2. 암석 표면에만 붉은 색을 띠는 부분이 있는데, 이것은 왜 생긴 것일까요?
3. 이 암석과 탐구지점1의 팔각정 근처 어떤 암석과 관련이 있을까요? 그 이유를 말해봅시다.
|
|
관입과 관입암 | |
|
이미 생성되어 있는 암석 속으로 새로운 액체 또는 반 액체 상태의 마그마가 뚫고 들어와 자리 잡으면 이를 관입이라 하며, 한 암석이 다른 암석을 뚫고 들어간(관입한) 경우, 관입당한 암석이 먼저 생성된 것입니다. 이를 ‘관입의 법칙’이라 합니다. 따라서 이곳에서는 관입당한 용결응회암이 관입한 규장암보다 먼저 만들어졌음을 알 수 있습니다.
관입의 법칙: 화성암이 어떤 암석에 관입했을 때, 관입당한 암층은 관입한 암석보다 먼저 생긴 것이므로 시간적인 선후 관계를 알 수 있습니다. 또 단층이 있으면 단층은 지층보다 나중에 생긴 것입니다. 단층이나 화성암의 관입에 의해 지층의 선후 관계를 정하는 원리를 ‘절단 관계의 법칙’이라고도 합니다.
✤ 분출과 관입의 차이 ✤
가. 분출(a): 마그마가 지층 밖에서 굳은 것 ⇨ 순서 : 1-2-3-4
나. 관입(b): 마그마가 지층 내에서 굳은 것 ⇨ 순서 : 1-2-4-3
✤ 문학산 정상 부근 쉼터에서 발견되는 포획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