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양산 - 서어나무
서어나무
서어나무는 황해도와 강원도 이남의 숲에서 자라며, 한자어로 서목(西木)이라고 하는데 나무이름의 유래는 확실하지 않지만 서쪽에 있는 나무라는 뜻으로 추측됩니다. 주로 산지에서 자라며 흔하게 발견되고 낙엽이 지는 큰키나무로 높이는 15m, 지름은 1m까지 자랍니다. 꽃은 암수한그루이고 5월에 피며 미상꽃차례를 이루며 달립니다. 수꽃이삭은 작은 가지에 달리고 밑으로 처지며, 수꽃은 각 포에 1개씩 달리고 8개의 수술이 있으며 수술대는 2개로 갈라집니다. 암꽃이삭은 자루가 있으며, 암꽃은 각 포에 2개씩 들어 있고 암술머리는 2개입니다. 열매이삭은 긴원기둥 모양이고 길이가 4∼8cm이며 밑으로 처지고, 포는 4∼8개이고 한쪽에 깊이 패어 들어간 톱니가 있으며 반대쪽 밑에 1개의 돌기가 있습니다. 열매는 소견과이고 길이 3mm의 넓은 달걀 모양이며 10월에 익습니다. 나무껍질은 회색이고 근육처럼 울퉁불퉁합니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 5.5∼7.5cm의 타원 모양 또는 긴 달걀 모양이며 끝이 길게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겹톱니가 있으며 뒷면 맥 위에 털이 있습니다.
서어나무는 봄의 신록과 가을 단풍이 아름다워 관상수로 심기도 하고 목채가 치밀하며 잘 갈라지지 않아 가구를 만드는 재료나 세공을 하는 재료로 이용합니다. 또한, 표고버섯 재배용 골목으로 사용하기도 하지만 참나무에 비해 생산량이 적어 땔감용으로 많이 이용되었습니다. 모양새가 비슷한 나무의 종류는 개서어나무, 까치박달, 소사나무 등이 있습니다.
숲은 오랜 기간이 지나면 그 숲에 가장 적합한 식물들이 군락을 이루는데, 이렇게 안정된 숲을 ‘극상림’이라고 합니다. 우리나라 극상림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나무가 서어나무라고 하니 ‘우리나라 나무의 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서어나무 암꽃과 수꽃, 수피 ✤
속명이 carpinus는 나무(car)와 머리(pin)의 합성어로 나무의 꼭대기 즉 극상림을 이루는 대표종입니다. 꽃이 잎보다 먼저 나와 밑으로 늘어집니다. 수피는 어두운 회색이며 매끈하고 오래되면 울퉁불퉁해 집니다.
✤ 서어나무 열매와 씨 ✤ 열매를 싸고 있는 포조각 한쪽에 큰 톱니가 있고 밑부분에 씨가 붙어 있습니다. 겨울눈은 긴 타원형이고 끝이 뾰족합니다. 암꽃눈은 새가지에, 수꽃눈은 전년도 가지의 잎겨드랑이에 달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