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량산/지질

탐구지점 3 - 암석의 풍화

미꽁이 2013. 1. 22. 19:29

   탐구학습 주제 : 암석의 풍화

적용 대상

중·고등학생용

소요시간

20분

준비물

확대경, 카메라, 탐구학습지, 해머(지질용 망치)


(A) 


(B)

 1. 암석 표면이 마치 양파껍질처럼 벗겨진 이러한 풍화 작용을 무엇이라고 할까요?



2. 이러한 구조가 만들어진 원리를 써 봅시다.


 

박리작용이란 무엇일까요?

 

박리작용(exfoliation)

온도 변화가 거의 나타나지 않는 지하 깊은 곳에서 형성된 암석이 지표에 노출되어 나타나는 압력의 감소와 낮과 밤, 계절에 의한 기온 변화로 인한 팽창과 수축으로 지표와 인접한 암석의 겉 부분엔 암석 표면과 평행하게 틈이 생기게 됩니다. 이러한 틈을 따라 들어간 물이나 공기로 인하여 화학적 풍화작용이 나타나면 암석의 틈에는 물을 함유한 점토광물이 형성됩니다. 점토는 틈 사이에서 윤활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약간의 힘이 주어져도 암석은 틈을 따라서 양파 껍질이 벗겨지듯 잇따라 뜯겨지는데, 이와 같은 현상을 박리작용이라 합니다. 박리작용이 많이 진행된 곳에서는 둥근 모양의 암체(岩體)나 반구형의 큰 돔을 형성합니다. 북한산의 인수봉을 비롯한 많은 화강암 봉우리에서 이와 같이 박리작용이 나타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화강암의 박리작용(서울 북한산)

화강암의 박리작용(청량산)